교량 커버플레이트 실측 방법 과 제작 방법

     교량 커버플레이트 개요

    교량의 방호벽, 중앙 분리대, 방음벽 등의 신축이음 구간의 틈새를 보호하거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제품으로 교량 신축 이음부와 같은 취약 부분을 덮어 차량의 충격, 이물질 침투, 부식 방지등 외부 요인으로 부터 보호하고,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 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 시키기 때문에 교량과 같은 토목 구조물에서는 필수 자재이다.

    installation of stainless steel cover plate on small bridge

    커버 플레이트 설치 목적 

    -차량, 보행자 등의 집중 하중을 분산 시키고, 압력을 줄여주어 유지 보수 주기를 늘려준다.
    -비. 눈 먼지 등의 침투를 막아 이음부 내부를 보호한다.
    -이음부의 높이 차이나 틈새로 인한 충격 완화와 진동 감소 효과가 있다.
    -교량 이음부와 주변 구조물을 보호함으로써 교량의 전체적인 수명을 연장한다.


    커버 플레이트 규격

    재질 STS304
    폭 500, 400, 300 mm
    길이 1000,1100,1200
    두께 3t

    커버 플레이트 재질은 95%이상의 현장에서 스텐레스 304  3T판으로 시공 하는데,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 부분은 알루미늄 체크판 5T를 이용해서 시공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규격은 일반적인 규격을 표시한 것으로 폭과 크기는 해당 교량 설계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홀가공

    커버 플레이트는 앙카를 시공 할 고정 홀과 장홀을 혼합해서 제작하는데, 이는 교량의 수축, 팽창시 움직일 수 있도록 유격을 주기 위함이며, 교량의 신축량과 비례해서 제작을 하게 되는데 아래 규격은 주로 사용되는 규격이다.

    신축량 #50
    신축량 50±25mm 로 작은 교량이나 온도 변화가 적은 지역에서 적합하고, 장홀 길이가 비교적 짧다.

    신축량 #80
    신축량 80±40mm 로 중간 크기의 교량이나 온도 변화가 중간 정도인 지역에 적합하고, 펀칭 간격이 #50보다는 길어지고 넓어진다.

    신축량 #100
    신축량 100±50mm 로 대형 교량이나 온도 변화에 큰 지역에 적합하고, 장홀 길이와 펀칭 간격이 가장 길고 넓다.

    홀의 간격

    #50 : 200~250mm
    #80 : 300~350mm
    #100 : 400~500mm

    장홀 길이

    #50 : 100~150mm
    #80 : 150~200mm
    #100 : 200~250mm


    실제 현장에 적용되는 사례
    원칙적으로 플레이트 홀 가공은 상기과 같이 제작을 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커버 플레이트는 장홀 100mm ~140mm  / 고정 홀 14~15Ø로 제작한다.

    홀의 간격은 특별한 규정이 없으며 방호책일 경우 윗면에 2개, 아래면에 1개로 고정하기 때문에 앞면 3개 뒷면 3개가 기본 수량이다.

    front, back and cross-section views of the barrier
    일반적인 커버 플레이트 도면

    방호벽 실측 방법

    방호벽의 실측은 곡선부 커버 플레이트의 두께등을 감안하여 측정하며, 이는 절곡 하여 제작 후 플레이트가 방호벽 하단까지 모두 덮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며, 중분대 실측의 경우 측정 값이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과 같아야 한다.


    실측 준비물 및 고려사항

    줄자, 레이저 거리 측정기(선택 사항), 수평계, 각도기, 연필(마킹 도구), 노트, 도면이 있을 경우에는 함께 준비해서 실측값과 비교해야 한다.

    -실측을 할 공간을 깨끗하게 정리하여 방해 요소를 제거한다.
    -커버 플레이트가 덮을 영역의 가로 및 세로를 측정하되, 곡면 이나 비 정형 구조인 경우 각 지점을 세부적으로 측정한다.
    -볼트 체결 및 용접이 필요한 경우 고정 지점의 위치와 간격을 측정한다.
    -고정용 볼트나 앙카를 위한 구멍의 깊이 값을 확인한다.
    -바닥의 평탄도를 확인하고 높이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기타 기둥 및 설치를 방해할 수 있는 장애물을 측정한다.

    실측시 유용한 팁

    -오차 최소화를 위해서 동일한 치수를 여러번 측정하여 평균 값을 사용한다.
    -측정 시작 위치를 명확히 지정하여 전체 측정이 일관 되도록 한다.
    -측정 값을 도면에 표시하거나 스케치를 작성해서 정확성을 높인다.
    -실측한 값을 바탕으로 적합한 크기의 커버 플레이트를 설계하고, 설계 후에 실측값 과 도면을 비교하면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 설치

    커버 플레이트의 고정시 세트 앙카를 주로 사용하는데, 반드시 대구경 와샤를 이용해서 고정해야 플레이트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인도 부분에 커버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체크 무늬판을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며, 체크판이 아닐 경우는 스텐레스 환봉을 용접하여 부착해야 하고 이때 환봉의 부착 방향은 사람이 통행하는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커버 플레이트 표면에 살 얼음으로 인해서 미끄럼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방호벽 반대편에 커버 플레이트 고정시 사다리의 이용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굴절 스카이, 크레인등의 장비가 필요하다.

    시공 수량은 현장 여건에 따라서 다르며 보통 2인 하루 평균 8~12개 시공이 가능하다. 

    댓글